사랑니발치 시기, 나는 지금 뽑아야 할까?


사랑니는 상 하악 가장 후방부에 있는 어금니로,
10대에서 20대 초반에 나며, 구강내 치아들 중 가장 늦게
나오는 치아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치아 개수에 비해 턱이
작아 맹출되는 사랑니의 약 60~80%는 비정상적으로 옆으로
누워 뼛속에 매복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해 많은 불편을 겪게 됩니다.
사랑니가 통증 없이 반듯하게 났다면 상황에 따라 뽑지 않아도 되지만,
사랑니가 바르게 자라지 못하고 매복된 형태로 자라게 되면
치아와 잇몸 사이에 음식물이 끼기 쉬워 충치를 유발하고, 또 쌓인 음식물이
염증을 일으키며, 염증으로 인해 합병증을 유발 할 수 도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염증으로 인해 사랑니로 인한 통증이나 인접 치아의
손상이 발생하기 전에 발치를 하는 게 중요합니다.
발치 시기를 놓치거나 늦어지면 제3대구치(사랑니)로 인해
합병증이 발생될 수 있고, 통증과 부종도 발생 확률도 줄일 수 있습니다.
앞서 설명드린대로 대부분의 사랑니는 제대로
나오기보다는 매복사랑니 또는 누운 형태로 비정상적으로
자라는 경우가 많아, 염증으로 인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조금이라도 불편감이 있으면 여유를 가질 수 있는
시기에 발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랑니는 나이가 많고, 턱관절이 안 좋은 사람은 나누어
발치하는 것이 좋으며, 임신을 계획 중이라면
사랑니를 미리 발치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임신하면 호르몬의 영향으로
잇몸 혈관 벽이 얇아져 염증이 더 잘 생기고, 임신중에는 약 복용을
피하는 임산부가 많아, 임신을 앞두었다면 사랑니 관리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매복사랑니는 아래턱의 감각을 담당하는 신경과 가깝게
붙어 있는 경우가 많아 발치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 주의해야 하고 발치시에는 일반 치아 발치와 달리
난이도가 높아 각 과 전문의가 상주하고 협진하는
한빛에서 확실하게 진단 후 발치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협진이 이루어지고 있는 한빛에서는 매복 사랑니를
발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신경마비에 의한 잇몸, 볼, 턱, 입술 주변의
신경손상을 줄이고, 감각마비 증상과 같은 영구적 장애 확률을
줄이기 위해 사랑니를 담당하는 의료진이 1:1 마킹하여 진행을 합니다.
또한 가끔 사랑니 인근 치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사례도 발생되고 있는데, 사랑니로 인한 염증 및 신경관
손상의 위험이 안정적인 임플란트 식립에도
큰 영향을 끼칠 수 있어, 사랑니 주변에 임플란트 식립 시
뼈이식이 필요한 경우, 치조골 등에 사랑니에 의한
염증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