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접면 충치 발생하는 이유
충치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흔한 질환입니다.
구강 내 남아 있는 이물질과 세균이 만나 산을 발생시키게 되고,
그로 인해 치아가 부식되는 현상인데요.
초기 치아우식증의 경우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우며,
별다른 통증이나 증상이 없으므로
우식이 진행되어도 모르고 넘어가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특히, 치아와 치아가 닿는 인접면의 경우
충치가 생기더라도 발견이 어려운 것은 물론이며,
치료 과정이 까다롭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는데요.
오늘은 인접면 충치와 예방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이나 구내 사진을 통해 발견하며,
특히 치열이 고르지 못하다면
치아 사이에 이물질이 더 잘 끼이게 되면서
인접면 충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데요.
초기에 발견하지 못하거나 치료를 미루게 된다면
우식이 진행된 부분의 잇몸 건강까지
악화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인접면 충치는 교합면 충치와는 달리
증상이 더 늦게 나타나곤 하는데요.
이전보다 입 냄새가 심하거나
지속적으로 통증이 발생한다면
인접면 충치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치료 시기를 놓친다면
우식이 진행된 치아뿐만 아니라
맞닿은 치아까지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난다면
빠른 시일 내 치과에 내원하여 치료를 진행하는 것 좋은데요.
인접면 충치는 치아가 맞닿아 있으므로
비교적 삭제량이 넓어 인레이 치료를 진행하게 되며,
초기 단계를 놓쳐 우식이 깊게 진행되어 신경까지 닿았다면
신경치료를 진행하게 됩니다.
치아 사이에 남아있는 이물질입니다.
따라서 칫솔질뿐만 아니라
치실이나 치간 칫솔과 같은 구강 보조용품을 사용하여
이 사이 이물질까지 제거해야 합니다.
어린 아이들의 경우 치아의 법랑질이 얇고
당분을 섭취하는 빈도가 높으므로
양치질뿐만 아니라 정기적인 불소도포를 통해
충치를 예방하는 것이 좋으며,
성인의 경우 6개월~1년 간격으로
정기적인 치과 검진 및 스케일링을 진행한다면
보다 건강한 치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구강 질환은 치료를 미루면 미룰수록
증상이 악화되어 치료 과정이 복잡해지게 됩니다.
구강 내 이상 증상이 있다면
빠른 시일 내 한빛치과병원에 내원하여
검진받아 보시길 바랍니다.